네이버 블로르글 운영하던 예전 시절을 생각해보면 최상위도 아니고 그렇다고 바닥도 아닌 참 애매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현재 내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어필하기 위해 '블로그 방문자수'를 어필하는 것이 익숙했다. 그러다보니 방문자 그래프나 다른 기능 등을 통해 "내가 이런 사람이니 의뢰를 넣어보시게" 라는 표현을 간접적으로 전달했다고 해야하는데 막상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면서는 사실 그런게 큰 의미가 있나 싶기도 하다.
우선 .. 네이버 검색에 View 영역에 잡히지 않는 것 때문에 의뢰는 별로 없다. 오히려 애드센스에 수익을 의존해야한다고 할까?
그러다보니 지금 얼마나 들어왔고 오늘 얼마나 들어왔는지를 수시로 체크하는 일이 매우 드물어졌다. 관심을 가져줘야 그만큼 성장하는게 블로그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현재 상태에서 더이상 늘어나지 않는 이유인듯 싶다.
그냥 글을 올리고 실시간으로 오픈되는 애드센스 수익만 봤다면 지금은 좀 더 디테일한 내용을 수집한다.
이전 네이버에서는 스크립트가 적용되지 않아 우회방법으로 사용하던 실시간 방문자수 조회 방법이다. 티스토리 방문자 그래프는 오늘 하루의 누적치를 기록하기 때문에 동일 시점에 몇명이 접속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어떤 시점에 가장 많은 유입이 늘었는지에 따라서 발행해야하는 시간대도 어느정도 조절해야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사실 알아두면 나쁠건 없다. 예를 들면.. 경제, 제테크, 사무노하우 등의 글들은 퇴근 이후 시간과 주말엔 정말 바닥이다. 여행도 어떤 여행이냐에 따라서 주말에 조회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사람이 나가있는 시간에 실시간으로 조회할만한 정보가 아니라 준비과정에 필요한 정보라면 주말에 검색도, 클릭도 안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랜만에 티스토리 방문자 그래프가 아닌 실시간 방문자수 조회가 가능한 스크립트를 깔아봤다.
정~~~말 오랜만인데 크게 달라진게 없다는 것에 한번더 놀란다. 초기에 무료로 제공하다가 지금은 일부 상세정보에 대해서 유료서비스를 하지만 가볍게 볼 수 있는 방문자수 수집은 예전과 동일하게 무료다.
아쉬운 점은 과거시점의 데이터가 좀 더 구체적이지 않다는게 조금 아쉬운데, 어차피 내가 보고 있지 않은 시간에 발생하는 이슈는 나중에 확인하려고 해도 체크가 어렵기 떄문에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아본다. 현재는 사이드바 하단에 넣어둔 노~란색 위젯이 바로 오늘 내가 소개할 부분이다.
■ whos.amung.us
고인물 시절부터 블로그를 운영한 사람이라면 한번쯤 봤거나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스크립트다. 물론 IP에 대한 중복이나 수집방식 때문에 티스트로 방문자 그래프와는 조금 차이가 있는 수치를 보일수는 있으나, 정말 세밀한 것이 아닌 급작스러운 이슈로 인해 방문자가 늘었을때를 대응하기엔 좋다.
이게 좋은 점이라면 구글 크롬이나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 "확장앱" 으로 설치하여 따로 티스토리 화면을 띄워두지 않아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사무실에서 일을 하다가 확장앱의 숫자가 급격히 올라갔을때 잠깐 티스토리를 살펴보는 정도?
지금은 낮시간대 15~20을 찍고 있지만 예전 리즈 시절에는 1,000 을 넘길떄가 자주 있었으니.. "아 그립다 그리워 " ㅋㅋㅋㅋ
뭐 어찌되었든 이걸 설치한 이후로 주기적으로 체크를 한다. 여기에 나오는 것은 실시간 접속자수와 함께 어떤 글에 대한 방문상태인지르 체크해주며 접속자의 체류시간을 찍어준다.
블로그를 하는 사람이라면 방문자의 체류시간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만큼 글에 대한 가독성이 좋거나 읽을만한 내용, 흥미도가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광고수익이건 다른 것들에서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도 그랬지만 Whos.amung.us 를 많이 애용했던 이유는 따로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자동으로 생성되는 코드만 중복되지 않게 입력하면 알아서 수집하고 보여준다. 장기적으로 DB를 쌓으려면 이 코드를 바꾸지 말고 잊어버리지도 않아야하는데 그게 아니라 하루하루 실시간 체크라면 뭐 크게 상관없다.
그래서 뭐가 달라졌냐고 한다면 당장 큰 차이는 없다.
다만 이슈글을 발행하거나 했을때 네이버 블로그와 달리 티스토리 블로그의 검색반영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유입량의 증감을 바로 체크할 수 있다는게 좋다. 떄에 따라선 이걸 근거로 제목을 수정하기도 한다. 수정해도 노출 순서에는 크게 상관이 없기 때문에...
이제 자자
끗!
티스토리 애드센스 수익, 게시글당 수익 확인 방법 (0) | 2020.05.27 |
---|---|
티스토리 방문자수 늘리기 생각보다 간단한 네이버 검색노출 (0) | 2020.05.19 |
구글 애드센스 예상수익, 티스토리 어떤글 써야할까? (0) | 2020.03.30 |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설치 어떻게 해야 수익이 날까? (0) | 2019.12.09 |
티스토리 수익 : 여행블로거라도 아고다 파트너스를 모르는 이유? (3) | 2019.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