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구글 애드센스 예상수익, 티스토리 어떤글 써야할까?

Blog

by Editor 2020. 3. 30. 02:48

본문

반응형





티스토리 컨텐츠 소재 선정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수익성 에 대해서 아예 배제하지는 않는다.

열심히 글을 쓰면 누군가 들어와 봐주고 도움이 되며, 여기에서 발생되는 수익이 다시 글쓴이에게 가는 구조..

매우 이상적이다. 하지만 보는 사람이 없다면, 그 광고가 클릭을 유도하지 않는다면.. 이 구조는 의미가 없다.


그렇다면 구글 애드센스 수익구조를 만들기 위해 티스트로리 운영자는 과연 어떤 글을 써야할까?

오늘은 구글 애드센스 예상수익을 보며 카테고리와 컨텐츠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① 어떤 소재가 수익성이 좋을까?


조금씩 바뀌는 애드센스는 말한다. 전세계에서 어떤 카테고리가 더 많은 수익이 나타날지를...

물론 이것은 예상치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영어권에서 더욱 활성화 되어있다보니 현재 한글을 기반으로 국내용으로 컨텐츠를 생산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조금 맞지 않을 수 있다. (티스토리가 그러하다)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로 스크롤바를 내려보면 누구나 볼 수 있다.

누구나 볼 수 있다는 것은 이로 하여금 더 쉬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정보는 아니라는 소리다.

오히려 "너도 이렇게 벌 수 있으니 지금 시작해봐" 라는 광고성이 짙다.


국가별, 언어별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100% 신뢰할 수 없다. 그러나 영어권의 문화에서 이런 것들이 잘 되고 있구나~ 정도의 가정을 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생각해볼 수 있다.




게임, 쇼핑, 여행 등에 비해 금융과 관련된 컨텐츠가 수익률이 높은 편이다.

이유는 그것을 보는 사람들의 소비패턴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당장 저것이 진짜 나의 구글 애드센스 예상수익이 되지는 않는다만.. 티스토리 운영을 하는데 있어 컨텐츠 소재를 정하는데 도움은 될 수 있다.



② 누구를 타겟으로 해야할까?


구글 애드센스도 CPM보다는 CPC 또는 CPA 의 단가가 높다.

그렇기에 내 글을 보고 함께 노출되는 광고를 클릭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수록 수익이 좋아진다.

모두 아는 이야기지만 그게 생각처럼 잘 안되기에 제자리 걸음을 하는 것이다.


일단 두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1) 결과적으로 확률이다, 그렇기에 더 많은 유입이 필요하다.

(2) 들어와서 적어도 15초 이상 글을 읽을만한 내용이 필요하다.


티스토리를 운영하면서 또다시 관심사가 된 것은 바로 이탈율과 체류시간이다.

과거에는 블로그의 품질을 위해서 고려했다면, 현재는 체류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광고에 대한 관심도도 올라간다는 것 때문에 신경을 쓴다.


물론 이것을 위해 깊이 있는 내용과 가독성이 좋아야한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연령대, 성별보다는 이미 여러차례 구매의 가능성이나 관심도가 있는 사이트를 접속한 후 티스토리를 방문하였을때 다시 해당 사이트로 유입이 될 수 있는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내용을 준비해야한다는 것이다.



③ 그렇다면 이제부터 무슨 주제를 쓸 것인가?


전문가가 아니라면 한가지 주제만 가지고 운영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만큼 소재가 많은 것도 아니고 깊이감도 떨어진다. 오히려 지난 1년간 운영을 하면서 실제 답답했던 정보를 실제 경험하면서 해결해가는 글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다. 단발성 이슈가 단기 유입량은 당연히 좋겠으나 거기에서 발생되는 수익이 미비하다.


이슈는 선호하지 않는 것은 누구나 이슈를 쫓아 티스토리를 방문하지만 들어옴과 동시에 결과를 알고 바로 이탈한다. 그렇다면 아무리 광고노출이 많아도 클릭으로 넘어가진 않는다. 때문에 어느정도 정독을 할 수 있을만한 소재를 준비해보자.



우선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재테크에 대한 부분을 좀 더 파보자. 재테크 기술을 소개하는 글을 엄청 많다. 그런데 그거랑 시중에 나온 책이랑 뭐가 다를까? 책도 그렇고 기술 소개의 글도 그렇고 실제 적용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검색을 해서 찾아오는 이유는 "나도 할 수 있는" 을 찾는 것인데.. 그게 안되면 잘 안본다.


그리고 꾸준히 PC와 관련된 수리를 다뤄본다. 그리 많은 유입은 아니나 꾸준하다. 생각보다 PC의 각종 오류에 취약하다. 이유는 그걸 직접 해야한다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AS센터의 편리함이 있었기에.. 하지만 매우 사소한, 또는 단순할지도 모른다는 1차적 검색에서 방문이 일어나면 그 글은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한다.








이래도 애드센스 수익은 오르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단기적인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