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월급재테크 : 국민연금 미납 어떻게 확인하나요?

IT+

by Editor 2019. 4. 11. 01:29

본문

반응형





[ 국민연금 미납 어떻게 확인하나요? ]


월급재테크라 하여 꼭 돈을 굴리고 굴려서 커다란 눈덩이를 만드는 것만을 재테크라고 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대부분이 연봉제로 직장을 다니고 있습니다. 물론 월급제도 있고 주급(시급)제도 있기는 하죠. 일단은 4대보험과 관련하여 좀 더 연관성이 있는 연봉제를 기준으로 오늘은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무슨 이야기냐고요? 매달 받는 월급명세서에서 따박따박 빠지고 있는 4대보험료에 대해서, 그 중에서도 금액이 큰 편인 국민연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국민연금은 월소득에서 연금보험료율(9%)을 계산하여 산정된 금액을 50%는 고용주가, 나머지 50%는 근로자의 월급에서 내는 방식으로 납부되고 있습니다.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한다면 1,745,150원의 월급을 받는다면 이 중 157,063원이 매달 납부하는 국민연금 납부액이고 급여에서는 78,531원이 빠져나갑니다. 결론적으로는 내가 원하지 않으나 강제로 월급에서 하루치 정도의 급여를 덜 받는 셈이죠.


그런데 국민연금 미납? 난 분명히 월급에서 돈이 빠져나갔는데 왜 그런일이 생겼을까요?





일단 내 국민연금이 제대로 납부되고 있는지부터 확인을 할 필요가 있겠네요.





국민연금 홈페이지(http://csa.nps.or.kr) 에서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하고나서 [ 재무설계 > 국민연금 알아보기 > 가입내역조회 ] 메뉴를 이용해보세요. 해당 메뉴를 사용한다면 쉽고 빠르게 현재 내 명의로 납부되고 있는 금액과 개월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왠만하면 전부 납부가 되어있겠으나 작은 기업의 경우 다달이 납부하기보단 한번에 몰아서 납부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납부만 한다면 사실 큰 문제는 없으니 만약 미납 내역이 있다면 회사 담당 직원에게 물어보세요.






국민연금 미납이 왜 월급재테크와 관계가 있냐고요? 결국에 우리가 재테크를 하는 이유는 장기적으로 노후를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그런데 노후를 위한 지출로 기본적인 국민연금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죠. 미납이 있다고 하여 나중에 돈을 못받는 것은 아닙니다만, 납부하지 않은 기간은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월 수령액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죠. 멀쩡히 월급에서는 까였는데 인정을 못받는다면.. 이보다 억울한게 또있을까요?


참고사항으로는 만약 미납을 하였고 추후에도 고용주가 낼 의사가 없는 경우 급여명세서 등의 증빙자료를 국민연금쪽으로 보내면 미납 기간 중 50%만큼의 기간은 인정을 해준다고 합니다. 50%의 사유는 앞서 말했듯이 고용보험료 중 50%만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근로자에 속하기 때문에 해당 납부의 의무는 근로자가 아닌 고용주에게 있어 독촉이나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안내를 받지 않는것이니 국민연금 미납 내역이 있나 확인해보는 월급재테크 체크를 꼭 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